-
[부스트코스] 웹 서버부스트코스 코딩일지/웹 프로그래밍 기초 2020. 1. 19. 17:01
웹 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주소 입력창에 url 주소를 입력하면, url 주소에 해당하는 결과물이 화면에 보이게 됩니다.
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웹 서버인데요.
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url을 요청하고 이에 해당하는 정보를 보여주게 되는 것입니다.
오늘은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 HTML 문서나 오브젝트를 반환하는 웹 서버의 역할과 종류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웹 서버의 역할
: 클라리언트가 요청하는 HTML 문서나 리소스를 전달하는 것
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나 웹 크롤러를 의미합니다. 웹 브라우저는 많이 익숙한 반면, 웹 크롤러는 생소하신 분도 있으실 텐데요. 웹 크롤러란,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 사이트에서 다른 웹사이트 정보를 읽어갈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.
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리소스는 정적인 데이터이거나 동적인 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.
정적인 데이터란 보통 이미지, html 파일, css파일, javaScript의 파일 등이 있습니다.
동적인 결과는 웹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.
클라이언트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웹 서버와 통신하게 됩니다.
웹 서버의 종류
대표적으로 Apache, Nginx, Microsoft 등이 있는데요
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Apache입니다. 최근에 Nginx가 신흥강자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[출처: https://www.edwith.org/boostcourse-web/lecture/16665/]
'부스트코스 코딩일지 > 웹 프로그래밍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스트코스] HTML -FE (1) 2020.02.02 [부스트코스] WAS (0) 2020.01.19 [부스트코스] Browser에서의 웹 개발 (0) 2020.01.19 [부스트코스] Browser의 동작 (0) 2020.01.17 [부스트코스] 웹 백 엔드 (0) 2020.01.17